본문 바로가기
스타트업 채용

스타트업은 어떻게 정의할 수 있을까?

by jjun25 2022. 10. 18.

스타트업 관련된 내용에 대해서 설명하고 있는데, 그래서 '스타트업'이라는 게 뭐예요?라는 원초적인 질문을 받은 적이 있다. 사실 너무 익숙하다 보니, 단어에 대해서 깊게 생각해보지도 않았고 막상 설명하기도 어려웠던 경험이 있다.

 

스타트업은 위키백과에서 나온 내용을 인용하자면, '미국 실리콘밸리에서 생겨난 용어로서, 혁신적 기술과 아이디어를 보유한 설립된 지 얼마 되지 않은 창업 기업이다. 자체적인 비즈니스 모델을 가지고 있는 작은 그룹이나 프로젝트성 회사이다.'이라고 한다.

 

내가 생각하기에 핵심적인 키워드는 '혁신적 기술''아이디어'라고 생각한다. 보편적인 스타트업 회사의 경우 작은 규모에서 시작을 한다. 규모가 작으므로, 대기업과 같이 큰 기업에 비해 잃을 게 없다. 따라서 혁신적 기술을 시도하여 빠르게 실행에 옮길 수 있다.


혁신적인 기술을 위해서는 기업 환경이 중요하다.

1. 혁신적 기술

혁신적 기술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조직 문화가 뒷받침되어야 한다. 혁신적 기술을 실행하기 위해서, 많은 시도와 새로운 도전이 필요하다. 만약 조직 문화가 업무 실패에 두려움을 준다거나, 반대로 성공에 대해서 보상이 없다면, 적극적인 시도와 도전은 멈출 것이다. 따라서 수평적 문화와 직원에게 충분한 동기 부여가 필요로 한다.

 

조직 문화와 더불어 시도하는 방법 또한 중요하다. 많은 스타트업은 애자일 방법론을 도입하고 있다. 애자일(agile)은 한국말로 번역하면 '민첩한', '기밀한'이라고 한다. 애자일 방법론은 계획 주도적인 방식 대신 불확실성을 인정하고 계획을 최소화하여 실행하고 일찍 피드백을 받는 것을 반복하는 과정이라고 생각한다. 이러한 방법론으로 제한적인 시간에 많은 시도와 도전을 자연스럽게 할 수 있어 많이 채택하는 방법론 중 하나이다.

 

조금 덧붙여서 얘기하면, 애자일 방법론은 소프트웨어 개발에서 대부분 이야기가 나온다. 하지만 애자일 방법은 꼭 소프트웨어에 한정지을 필요가 없다. 예를 들어 공부를 한다고 했었을 때, 책 읽기, 강의 시청, 오답노트 등 다양한 방법을 짧게 시도해본다. 그리고 스스로에게 어떤 방법이 나은 지 판단하고, 계속 시도해 나간다. 이러한 공부법에서도 에자일 방법론을 적용할 수 있다.


아이디어는 다양한 것을 접하는 게 먼저.

2. 아이디어

아무리 많은 시도를 해도 좋은 아이디어가 없는 상황에서 실행하면 실패만을 거듭할 것이다. 아이디어는 무의식속에서 짠하고 떠오르는 것은 아니라고 생각한다. 

 

스티브 잡스의 말을 인용하자면, '창의력은 서로 다른 것들을 연결시키는 것이다.'라고 한다. 더불어 '창의적인 사람들에게 어떻게 무언가를 해냈는지 물어보면 그들은 약간 죄책감을 느낀다'라고 한다.

 

나는 창의적인 아이디어가 '다양한 것들은 많이 보거나 접하고, 이를 영감을 받아 새로운 생각을 연상하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기획자로서 예시를 들면 기획을 할 때 많이 실수하는 것 중에 하나가 레퍼런스 확인과 벤치마킹에 낮은 비중이라고 한다. 경험이 적은 기획자들은 좋은 기획 아이디어가 나올 때까지 망상에 빠져 생각을 한다. 사실 그전에 많은 유사 서비스와 레퍼런스를 살펴보고 심도 깊은 분석 해야 하는데 말이다.

 

스타트업 회사에서도 아이디어를 많이 떠올릴 수 있는 환경이 필요하다. 포인트는 많은 생각과 짧은 실행인 것 같다. 아이디어회의를 깊게 가져가고, 그것을 실행하는 행동을 최소화하는 것이다. 회사나 경영진 입장에서 단순히 많은 일을 하고 있지 않으면 직원은 성과가 없다고 평가 내리는 회사를 많이 봤다. 개발자는 단순히 코드 한 줄을 더 많이 쓰기를 바라고, 기획자는 더 많은 화면 설계서를 찍어 내길 바라는 것이다. 그러한 회사는 오래가지 못할 확률이 높다고 본다.


글을 쓰다보니, 스타트업 정의와 더불어 내가 생각하는 이상적인 스타트업에 대해 많이 쓴 거 같다. 좋은 스타트업이 많았으면 좋겠다는 바람과 그러한 기업을 스스로 만들고 싶다는 생각이 반영된 거 같다. 설명이 부족하다고 느끼지만, 스타트업 정의에 대해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었으면 하는 바람으로 글을 마무리한다.

반응형

댓글